본문 바로가기
경제와 일상

2028학년도 수능 제도 변경 주요 내용 소개

by health@wealth 2025. 7. 20.
반응형

2028학년도 수능 제도 변경 주요 내용

 

1. 통합형·융합형 수능 도입

  • 선택과목 폐지: 기존 국어, 수학, 사회, 과학의 선택과목제가 폐지되고, 모든 학생이 동일 내용으로 응시하는 ‘통합형·융합형 수능’ 체계로 전환됩니다.
  • 국어·수학: 선택과목 없이 공통과목만 출제되며, 수능에서 심화수학(미적분Ⅱ·기하)은 아예 포함되지 않습니다.
  • 사회·과학탐구: 사회, 과학탐구 모두 '통합사회', '통합과학' 과목으로 각 25문항, 40분 시험을 실시합니다. 학생은 두 영역 모두에 응시해야 하며, 점수는 별도로 산출됩니다.
  • 직업탐구: 과목은 ‘성공적인 직업생활’로 단일화, 사회·과학탐구와 동일하게 진행됩니다.

2. 내신 및 등급제 개편

  • 내신평가 5등급제: 기존 9등급제에서 절대평가 5등급(A~E) 체계로 변경됩니다.
  • 사회·과학 융합 선택과목: 9개 사회·과학 융합선택 과목은 절대평가(5등급)만 적용하고, 상대평가는 기재하지 않습니다.
  • 예체능·교양 등: 예체능·교양 교과는 절대평가만 적용, 등급 미기재가 유지됩니다.

3. 수능 출제 방식 및 시간

  • 국어: 45문항, 80분(현행 유지)
  • 수학: 30문항(단답형 9문항 포함), 100분(현행 유지)
  • 영어: 45문항(듣기 17문항 포함), 70분(현행 유지)
  • 탐구(사회·과학): 각 25문항 40분, 선택과목제 폐지
  • 직업탐구: 25문항 40분(‘성공적인 직업생활’)
  • 제2외국어/한문: 20문항 30분(문항 수·시간 감소)
  • 한국사: 20문항, 30분(현행 유지)
  • 시험 순서: 1교시 국어, 2교시 수학, 3교시 영어, 4교시 한국사/탐구, 5교시 제2외국어/한문.

4. 성적 제공 방식

  • 성적표: 국어, 수학, 탐구 영역은 표준점수·백분위·등급이 기재되며, 한국사, 영어, 제2외국어·한문은 등급만 기재(9등급 유지).

5. 정책 취지 및 배경

  • 공정성 강화: 과목·점수 유불리 해소, 선택과목제 폐지를 통한 입시 부담 감소.
  • 융합적 사고력 강조: 통합형 평가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융합적 사고력을 측정.
  • 사교육 부담 완화: 심화수학 출제 제외, 선택 폐지로 과도한 사교육 수요 억제 기대.

6. 정리 표

 

구분 주요 변경 내용
선택과목제 폐지 (모든 학생 동일 과목 응시)
수능 과목 국어, 수학, 통합사회, 통합과학 등
심화수학 미적분Ⅱ·기하 등 심화수학 출제 제외
내신 등급제 5등급(A~E) 절대평가+일부 과목 상대평가 제외
출제 문항/시간 사회·과학탐구 25문항, 40분 / 직업탐구 동일 적용
성적 제공 국어·수학·탐구: 표준점수·백분위·등급
 

이 개편은 2028학년도 수능부터 현재 중2 학생들에게 적용되며, 고교학점제, 2022 교육과정 등과 연계해 교과 융합·창의역량 신장에 중점을 둡니다

 

 

반응형